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표, 50% 100% 120% 150% 총정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표, 50% 100% 120% 150%.
“우리 가정이 기초생활수급자 기준에 해당되나요?”
“청년 월세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몇 퍼센트까지죠?”
“아이 돌봄 바우처는 120%? 150%? 정확히 얼마인지 모르겠어요…”
복지제도나 주거지원, 정부 바우처를 신청하려 할 때
가장 많이 부딪히는 질문은 바로 ‘우리 가구의 소득이 몇 % 구간인가요?’ 입니다.
이 기준은 바로 **‘중위소득’**에서 결정됩니다.
지금부터,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100%, 120%, 150% 계산표와 구간별 활용 예시까지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도록 총정리해드릴게요.
✅ 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요?
중위소득은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 수준입니다.
즉, 절반은 이보다 적게 벌고, 절반은 이보다 많이 버는 구조죠.
정부는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각종 복지 혜택 대상자를 구분합니다.
예: 50% 이하는 기초생활수급자, 120% 이하는 청년월세지원 대상 등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 고시)
가구원 수 | 50% | 100% (기준 중위소득) | 120% | 150% |
---|---|---|---|---|
1인 | 1,074,822원 | 2,149,643원 | 2,579,572원 | 3,224,465원 |
2인 | 1,776,099원 | 3,552,197원 | 4,262,636원 | 5,328,296원 |
3인 | 2,282,134원 | 4,564,268원 | 5,477,122원 | 6,846,402원 |
4인 | 2,767,525원 | 5,535,050원 | 6,642,060원 | 8,302,575원 |
5인 | 3,225,214원 | 6,450,428원 | 7,740,514원 | 9,675,642원 |
6인 | 3,662,693원 | 7,325,386원 | 8,790,463원 | 10,988,079원 |
7인 | 4,091,680원 | 8,183,361원 | 9,820,033원 | 12,275,042원 |
✅ 매년 물가상승률과 소득분포에 따라 보건복지부가 고시
✅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5,535,050원 / 120%는 6,642,060원
✅ 중위소득 퍼센트별 의미 정리
중위소득 비율 | 구간 해석 | 주요 적용 제도 |
---|---|---|
30% 이하 | 최저 생계 수준 |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기초생활수급 |
50% 이하 | 상대적 빈곤선 | 주거급여, 교육급여, 에너지바우처 |
60~100% | 저소득층 범위 | 한부모가정, 차상위계층, 영구임대주택 |
100~120% | 서민층 | 청년 월세지원, 육아지원, 보육료 등 |
120~150% | 중간소득층 | 긴급복지, 일부 국가바우처 |
150% 초과 | 일반 또는 고소득층 | 복지 지원 대상에서 벗어날 가능성 높음 |
💡 많은 제도에서 **‘기준 중위소득 ○% 이하’**라는 조건이 붙는 이유입니다.
✅ 중위소득 활용 예시 5가지
① 청년 월세 지원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1인가구 기준 2,149,643원)
- 지원금: 월 최대 20만 원, 12개월
- 조건: 무주택자, 독립거주
② 에너지 바우처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대상: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포함 가구
- 지원: 전기·가스 요금 감면
③ 육아휴직 급여
- 기준: 중위소득 상관없이 지급되나, 중위소득 이하 가구 우선지원 혜택 존재
④ 희망저축계좌Ⅰ / 청년내일저축계좌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100% 이하 / 120% 이하로 구분
- 지원금: 월 10~30만 원 매칭지원
⑤ 긴급복지지원제도
- 기준: 중위소득 75~150% 이하까지 긴급지원 가능
- 대상: 위기 상황(실직, 질병 등)
✅ 우리 가구가 중위소득 몇 %에 해당될까?
👉 가구원 수별 월 소득 총합 ÷ 해당 연도의 중위소득 × 100
예) 3인 가구, 월 소득 390만 원
→ 390만원 ÷ 4,564,268원 × 100 ≒ 약 85.5%
✅ 이 계산을 통해 신청 자격 여부를 스스로 체크 가능
✅ 건강보험료 기준 산정하는 제도도 있으므로, 세부지침 확인 필요
✅ 중위소득과 헷갈리기 쉬운 용어들
용어 | 의미 | 구분 필요 |
---|---|---|
기준중위소득 | 복지 제도 판단 기준 소득 | 복지 혜택의 중심 |
가구균등화소득 | 전체 가구 소득 / 가구원수 조정 | 빈곤율 조사에 사용 |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 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 | 일부 복지제도에 사용됨 |
가처분소득 | 세금, 사회보험료 뺀 실소득 | 소비여력 판단 |
✅ 마무리: 숫자 너머에 있는, 삶의 기준을 이해하세요
중위소득은 단순한 통계가 아닙니다.
그 숫자에는 우리 사회가 어디까지 도울 것인가, 누가 도움이 절실한가에 대한 기준이 담겨 있습니다.
“나는 해당 안 될 것 같아...”라고 생각했다면
계산 한 번이면, 당신의 권리가 보일 수도 있습니다.
지금 바로 우리 가정의 소득을 확인하고,
당신이 받을 수 있는 복지를 찾아보세요.